<식물>방풍(防風)<산방풍, 통운, 회초, 간근, 병풍, 백비>
약성가 및 고서
防 風 甘 溫 骨 節 痺 諸 風 口 禁 頭 暈 類. :
'방풍은 미감 성온하다. 골절비, 제풍증, 구금, 두훈 따위를 다스린다.' '백렴, 건강, 여로 원화 등을 오하고, 비해를 외하고,
부자독을 죽이며, 모든 약독을 푼다. 방풍은 황기를 제어할 수 있으나 황기가 방풍을 얻으면
그 공력이 점점더 커져 마침내 서로 외하고 서로 보좌하게 된다.(본초) 상초의 풍사를 제하는데 성약이다.'
식물
미나리과의 다년초로서 가을에 그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말립니다.
성분
약리
방풍 뿌리의 알콜 추출액은 진통작용이 있습니다. 잎의 알콜추출액과 뿌리의 정유는 진통작용이 없고 오히려 자극예민도를 높입니다.
실험동물의 뚜렷한 열내림 작용이 있는데 그 세기는 뿌리정유, 잎알콜추출액, 뿌리알콜추출액의 차례로 세집니다.
에툴린은 프로쿠마린 가운데서 가장 센 진정작용이 있습니다.
임페라토린은 진경작용, 혈관확장작용, 베르갑텐은 혈관수축작용이 있습니다.
응용
예로부터 여러 가지 풍과 머리 아프고 어지러운데 사용하였습니다. 발한해열, 거풍약, 진통약으로 감기나 중풍에 씁니다.
열이 나며 땀이 없을 때 듣습니다. 머리아픔, 뼈마디 아픔에 효과가 있습니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신석증, 전간, 무월경에 씁니다.
사용예
달임약 : 5~8g을 200cc로 달여서 감기에 하루3번에 나누어 마십니다.
패독산 : 창출, 시호, 강활, 길경, 형개, 전호, 독활, 백지 각100g, 복령 50g, 방풍, 감초 25g을 가루내어 두통, 해열, 지절통, 감기에
한번에 3~5g씩 하루3번 식전에 복용합니다.
기타
기름나물을 방풍 대용으로 쓰기도 하며, 해방풍, 돌방풍 등 동속의 식물을 모두 방풍으로 이용합니다.
*************
방풍
뿌리 1 꽃 2
건조한 모래흙으로 된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종자에서 싹이 난 지 3년 만에 꽃이 피고 진다.
뿌리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지고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고 3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약간 딱딱하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로 달린다.
작은총포는 바소꼴이며 5∼6개이다. 씨방은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납작하고 넓은 타원 모양이며 어릴 때는 돌기가 있다.
중국 북동부, 화베이, 내몽골 원산이며 약료작물로 재배한다.
한방에서는 두해살이 뿌리를 감기와 두통, 발한과 거담에 약으로 쓴다.
대용품으로 갯기름나물·기름나물·갯방풍을 쓰기도 한다.
한국·중국·우수리강·몽골·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방풍은 노두, 몸통, 뿌리는 각기 상부, 중부, 하부의 풍을 다스리며, 36가지 풍을 치료한다.
방풍은 다년생 초본으로서 봄과 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는 것의 뿌리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에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방풍에는 갯기름나물, 기름나물, 갯방풍 등의 종류가 있는데, 특히 갯방풍은 바람이 많고, 물이 잘 배출되는 모래밭같은 곳에서 잘 자란다.
바닥에 붙어서 자라기 때문에 강한 바람에도 이길수 있다고 하여 바람을 막는다라는 방풍(防風)으로 명명되었다.
이 약재는 땀을 내서 몸의 풍사(風邪)를 제거하고, 몸속의 습(濕)을 제거하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
감모로 인한 두통, 어지러움, 뒷목이 뻣뻣함, 몸이 저리는 증상, 골절이 매우 시리면서 아픈 경우, 사지에 경련이 일어나는 경우,
파상풍(破傷風)등에 한의학적으로 매우 다용하고 있는 약재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 약재는 단방으로서 보다는 복합처방에서 매우 다양하게 응용하고 있다.
특히 체질이 뚱뚱하다거나 비만한 체질에 많이 응용하고 있다.
금기(禁忌)로는 한의학적 질병의 원인 중 하나인 풍사(風邪)로 인하지 않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 허리와 잔등이 시리며 아픈 증상, 바람 맞기 싫어하는 증상, 화끈 달아오를 때에는 형개, 방풍을 끓여 식후에 먹는다.
♠ 중풍에는 방풍 40g을 물과 술을 섞어 넣고 끓여 먹는다.
♠ 폐렴, 감기몸살로 열이 나는 경우에는 갯방풍(방풍)을 15~20g을 달여 하루 3번 먹는다.
♠ 고열로 경풍을 일으키는 데는 방풍 10g, 박하, 선퇴, 백강잠, 감초 각각 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먹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