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산수유 가꾸기
생육환경 및 성질 | |||
|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이 빠르며 싹트는 힘도 왕성하고 전정에도 잘견디며 절호용으로가지를 잘라도 곧 수형이 회복된다. | ||
| |||
재배 | |||
|
1) 적지 | ||
|
|
서북풍이 막힌 양지 바른 곳이 좋으며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사질양토로서 배수가 양호한 곳이 좋다. 대체로 비옥한 산간계곡, 산록부, 논뚝,밭뚝의 공한지 등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이 빠르다. | |
| |||
|
2) 이식 및 식재 | ||
|
|
식재본수는 재배목적,입지 등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10a당 35-40본을 심는다. 40본을 심을 때 식재거리는 5mX5m로 한다. 나무를 심는 구덩이는 넓이 60㎝,깊이 60㎝의 크기로 하고, 한 구덩이당 퇴비 4-10㎏,복합비료 50g씩을 흙과 섞어 나무뿌리에 비료가 직접 닿지 않도록 식재한다.
심는 구덩이에 퇴비와 계분 등을 밑거름으로 넣고 심는다. | |
| |||
|
3) 시비 및 전정 | ||
|
|
시비: 어린 시기에는 6월 중순 이전에 본당 복합비료 50g씩(고형복합비료 60g)을 나무 주위에 환상으로 주고 커짐에 따라 연차적으로 중량하여 시비한다.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면 지엽만 무성하고 꽃이 적게 피므로 가지를 전정하는 병행하여 인산과 칼리질 비료를 뿌리 쪽에 많이 준다.
이른 봄 꽃피기 전과 꽃진 후에 시비하면 개화를 좋게 하고 낙과를 방지한다.
겨울을 나는 동안 결과지가 고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지를 적심하여 통풍이 좋게 한다. 뿌리가 활착하면 해마다 많은 도장지가 나와서 꽃이 이 가지에는 잘 붙기 않으므로 짧게 전정하여 짧은 가지에서 꽃이 많이 피게 하여준다. | |
| |||
|
4) 병충해 | ||
|
|
병해충은 심한 편이 아니나 갈반병,흰가루병, 잎말이나방,좀나방,깍지벌레 등이 있다. | |
| |||
번식 | |||
|
|
산수유나무의 번식은 주로 종자로서 하고 있는데 삽목과 접목도 할수 있으나 발근과 활착률이 아주 낮다.
여름에 채종한 것은 과육을 벗겨 약용으로 하고 종자는 즉시 땅속에 묻어 두었다가 그해 가을에 파종한다. 다음해 봄에 파종할 수도 있으나 발아는 어느 쪽이나 1년 지나서 그이듬해 봄에 발아하게 된다. 종자는 서늘하고 건조하지 않은 곳에 1년간 묻어두었다가 싹을 틔워서 파종하면 당년에 발아하게 되므로 유리하다.
황산 80%액에 2분간 처리하였다가 맑은 물에 깨끗이 씻어 파종하면 발아가 잘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