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말랭이
        정경화 
메마른 입 안 가득 침이라도 고이라고 
무수한 주름 위로 가을볕을 담는다 
바람의 떨리는 혀가 순례처럼 핥고 간 뒤 
그리운 시간들은 왜 자꾸 노래가 되나 
뜨락에 멍석 펼쳐 하얀 꽃을 꿈꾸었던 
어린 날 두고 온 달빛 함께 우려 건진다 
뒤틀린 상처까지 가슴 깊이 안아주마 
비로소 남은 뼈마저 누굴누굴 간이 배면 
찬바람 휑한 밥상에 되씹히는 가을이 깊다 
*이정환의 시조 산책 219*
전통적 음식재료를 시의 소재로 삼았군요. ‘무말랭이’는 향수를 자아내게 합니다. 
가을이면 삼동을 나기 위해 우리 어머니들은
 ‘무’를 알맞은 크기로 썰어 멍석 같은 곳에 가지런히 뉘어 볕살 아래 말렸지요. 
가난하던 그 시절, 볼 때마다 메마른 ‘입 안 가득 침’이 고일만 했지요. 
‘무수한 주름 위로 가을볕’을 담고 있다고 시인은 말합니다. 
그렇습니다. 
때때로 ‘바람의 떨리는 혀가 순례처럼 핥고 가’기도 하지요. 
그럴 적마다 ‘무말랭이’는 더욱 고들고들 말라가면서 그 진득한 맛을 안으로 쟁이지요. 
이 대목에서 시인은 나중에 우리가 
‘가을볕’과 ‘떨리던 바람’까지 함께 먹게 될 것을 예견했을 법 합니다. 
둘째 수에서 ‘노래’가 되는 ‘그리운 시간’과 더불어 
‘뜨락에 멍석 펼쳐 하얀 꽃을 꿈꾸’던 어린 날을 떠올리며 
그 때 그 달빛과 함께 우려 건지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무말랭이’는 ‘뒤틀린 상처까지 가슴 깊이 안아’줍니다. ‘ 
남은 뼈마저 누굴누굴 간’이 밸 즈음 
‘찬바람 휑한 밥상에 되씹히는 가을’이 깊어가지요. 
그 당시로 문득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집니다. 
이렇듯「무말랭이」는 우리의 향수를 자극합니다. 
어머니와 할머니 그리고 고향집에 대한 뭉클한 그리움을 안겨줍니다. 
정경화 시인은 200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으로 등단하였고, 
최근에 처녀시집『풀잎』(동학사)을 펴내었습니다. 
첫 시집 상재를 축하하며, 앞으로 문학적으로 더 큰 성취 있기를 기원합니다. 
'글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검은 색을 표현하는 77가지 우리 말 (0) | 2007.12.06 | 
|---|---|
| 등잔 / 정수자 (0) | 2007.12.05 | 
| <리강용 시인의 좋은시조 리뷰>나목, 초설 / 이옥진 (0) | 2007.12.03 | 
| �다 와 쫓다? (0) | 2007.12.03 | 
| 밥그릇 경전 / 이덕규 (0) | 2007.12.02 |